[마을청년, 세상을 만나다]⑮ “마을의 인문학, 그게 뭐에요?”

이은지 기자 승인 2021.09.21 05:00 | 최종 수정 2021.09.22 13:48 의견 0

마을의 인문학에서 지난해 진행한 ‘걸어서 누리는 마을 문화 만들기’ 사업에서 백현빈 대표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 본인제공.)


“마을의 인문학? 그게 뭐에요?”

<마을의 인문학> 단체를 운영하면서 적지 않은 사람들에게 질문을 받는다. 마을이야 하다못해 가까운 동네를 떠올릴 수도 있지만, 인문학은 과연 무엇인지, 거기에 마을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다.

“창의적인 사람들이 마을 곳곳의 활력을 넘치게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
여전히 선뜻 구체적인 모습을 그리기는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필자가 가장 먼저 이야기하는 개념은 ‘사람’이다. 마을을 살리기 위해서는 일단 그 일을 같이 할 사람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주민 활동가들이 각 지역에서 열심히 활동하고 있지만, 청소년, 청년, 직장인 등 다양한 인적 구성을 포용하기에는 아직 부족함이 많다. 이들의 목소리를 대표할 사람은 찾기 어려운 현실이다.

다수의 청소년은 ‘서울에 있는 대학’을 지상 목표로 입시에 매진한다. 이들이 청년이 되어 주로 즐기는 대중문화는 홍대와 강남과 같은 서울 도심에 집중되어 있는 편이다. 일자리 자체도 서울이나 중앙에 밀집되어,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청년들은 더욱 지역과 멀어질 수밖에 없다.

이들이 더 성장해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시기가 되면, 부동산 시장에서는 어김없이 ‘서울 불패론’이 대두되고 서울, 특히 일부 중심 지역과의 접근성이 집을 평가하는 절대 척도처럼 여겨진다. 과연 다음 세대에 마을은 누가 함께 머물며 가꾸어갈 것인지, 비관적인 목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마을’이라는 가치를 제대로 부활시키고 일상의 생산과 소비를 재창출한다면 ‘국토균형발전’이라는 국가의 소망을 이룰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마을의 인문학>은 이러한 꿈을 함께 꾸며, 사람들이 각자의 마을에서도 충분히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길을 찾고 있다.

사실 지역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첫 단추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루아침에 지방에 회사가 많아질 수는 없을 것이다. 지방에 의욕적으로 산업단지를 만든다고 해도 그곳을 채울 기업이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마을의 인문학>은 우선 ‘여가’에 관심을 가져보기로 했다. 최소한 주말에 ‘놀기 위해서’까지 지역을 벗어나지는 않도록, 마을에서의 삶도 충분히 다채롭고 즐겁게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이처럼 각 지역별로 제대로 특화된 여가문화가 활성화되면 나아가 새로운 문화관광 일자리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다.

<마을의 인문학>은 이런 취지를 가지고 설립 직후인 2020년에 경기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걸어서 누리는 마을 문화 만들기’ 사업을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지역 주민과 함께 우리 지역에 어떤 문화 시설이 있는지 답사했고, 문화예술 각 분야별로 알기 쉽게 전문가가 소개해주는 교육을 이어서 진행했으며, 지역에서 음악회도 열고 문화도시 사례답사도 다녀왔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시민이 가까이서부터 다양한 문화 경험을 해야 좀 더 자유롭게 새로운 것들을 상상할 수 있다는 것을 체감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이후 화성시의 지원을 받아 시민들과 함께 ‘문화도시’를 상상하는 공론장을 열었고, 올해 화성시문화재단과 업무협약을 맺고 문화도시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딛게 됐다.

[마을청년, 세상을 만나다]를 연재하는 백현빈은?
- 서울대학교 정치학전공 박사과정 수료
- <마을의 인문학> 대표
- 화성시 청년정책위원회 부위원장,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교육복지분과위원장
- 마을 속의 수많은 질문을 함께 고민하고 답을 찾고자 노력하는 청년

[다음 편에 계속됩니다.]

저작권자 ⓒ 경인바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