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주도…선(先) 교통, 후(後) 개발 [사진=경기도청]
경기도가 경기북부 대개발의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는 ‘경기북부 중심 고속화도로’ 건설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도민 참여형 민자 방식으로 추진되며, 총연장 42.7km, 총사업비 약 2조 506억 원 규모로 2034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5일 의정부 민락국민체육센터에서 열린 민생경제 현장투어 행사에서 “경기북부 교통 인프라 확충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이번 사업은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국민 펀드 방식을 도입해 최초의 도로 민간투자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8개 격자형 도로망 구축…경기북부 접근성 개선
경기북부 중심고속화도로는 고양·파주·양주·의정부·남양주 등 5개 시를 연결하며, 수도권 제1·2순환고속도로 사이의 동서축 고속화도로 역할을 하게 된다. 서울~문산, 서울~양주, 세종~포천, 하남~남양주~포천 등 기존 남북축 고속도로와 연계해 경기북부 공간구조를 현재 4개 격자형에서 8개로 세분화한다.
이를 통해 도민들의 도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고양 원당동에서 남양주 진접읍 구간 이동 시간은 기존 2시간 22분에서 44분으로 단축되고, 통행 속도도 시속 33km에서 68km로 향상된다.
경제효과 2조 2천억 원, 고용 9천여 명 기대
경기도는 고속화도로 개통 시 약 2조 2,498억 원 규모의 경제효과와 9,650명 고용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중증 응급환자의 골든타임 확보, 관광지 접근성 강화, 물류비 절감 등이 주요 기대효과로 꼽힌다.
도민 펀드 도입…민자사업 한계 보완
이번 사업은 ‘도민 펀드’ 방식을 도입해 민간 독점 구조를 벗어나 도민이 직접 투자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구조로 추진된다. 경기도는 이를 통해 재정 부담을 줄이고, 민자사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는 앞으로 민간투자사 제안서를 접수한 뒤 기본계획 고시, 사업시행자 지정, 실시계획 승인 및 착공 절차를 거쳐 2034년 개통을 추진할 예정이다.
경기북부 중심고속화도로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 확충을 넘어, 경기북부 균형발전과 교통 혁신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