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추계]젊은 층 1명이 미래에 100명 삶 짊어져야 한다
김형주 기자
승인
2021.12.09 15:53
의견
0
우리나라 인구가 지난해를 기점으로 완만하게 감소하기 시작해 50년후에는 3766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50년 후에는 중위연령이 62.2세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9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장래인구추계(2020~2070년)'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 수는 5184만명에서 2030년까지 완만히 감소하기 시작하고 이후 가속화되어 2070년 3766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중위추계 기준)됐다.
인구 자연감소(출생아수-사망자수)가 지속되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국제순유입이 급감하면서 내부터 총인구가 감소세로 전환할 것이란 전망이다.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84명에서 오는 2024년 최저 수준인 0.70명까지 하락 후 반등해, 완만히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생산연령인구는 지난해 3738만명에서 10년간 357만명 감소해 2070년 1737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노인 연령은 느는데 반해 생산연령인구가 줄면서 미래세대의 부담이 점차 가중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생산연령인구가 1백명당 부양할 고령인구는 지난해 21.8명에서 2070년에는 100.6명으로 4.6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생산연령인구는 향후 5년간 177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지난 2019년 추계(151만명) 대비 감소인원은 26만명 이상 증가했다. 생산연령감소 속도가 대폭 빨라졌다는 소리다. 이에 따라 향후 5년여간 생산연령인구 감소세가 커진 상황에서 생산인구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조기에 출산율 반등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출산과 육아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이 장기 인구추세 악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그동안의 정책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새롭게 필요한 조치들도 점검해 총력대응 해나갈 계획이라는 입장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우선 코로나19로 심화된 저출산 기조를 조기 반등시킬 수 있도록 저출산 대응 5대 패키지 등 기존에 마련한 대책을 차질 없이 집행할 예정"이라며 "인구구조 변화의 충격을 완화하고 새 성장궤도에 안착할 수 있도록 내년 제4기 인구정책 TF 운영 등 관련 정부대책을 통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경인바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